생명공학 학사가 갈 수 있는 직군은 무엇일까? QC QA 임상 R&D 영업까지~!
안녕하세요
원생이가 알려줄게연에 원생입니다 :)
**로그인 안하셔도 하트는 눌러집니다
즐겁게 보셨다면 눌러주세요! 큰 힘이 됩니다.
오늘은 최근 댓글로 받은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려고 해요!
"보통 생명과학과를 학사졸업한 경우, 위 기업들에 입사하기위해서는 대학원까지는 나올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시죠???
연구직이 아닌경우 바이오 전공이면 취업이 가능할까요? 그 밖에 갖춰야할 또 다른 스펙은 뭐가 필요할까요?"
아래 게시글에 대해 댓글 남겨주신 부분이기 때문에 대기업의 초점에 맞춰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이전 글 보러가기 >> 2022.02.19 - [생명공학, 바이오 취업하기/취뽀 경험을 소개할게연] - 생명공학과 나와서 어디 취업하죠? 1. 대기업 - 연봉도 대략 공개..*
생명공학과 나와서 어디 취업하죠? 1. 대기업 - 연봉도 대략 공개..*
안녕하세요 원생이가 알려줄게연에 원생입니다 ;) 오늘은 제가 대학교 2학년때부터 가지고 있었던 고민인..ㅋㅋㅋㅋ 그래서 도대체 어디에 취업할 수 있는거죠? 에 대한 답을 가져왔어요! 1. 대
gradmonkey-kim.tistory.com
질문의 요점은 3가지로 나뉘는 것 같아요!
1. 대학원을 가는 것이 대기업 입사에 유리한가요?! 혹은 상관없는 건가요?!
2. 연구직 외에 학사 출신의 생명과학, 생명공학 전공자가 갈 수 있는 직군은 무엇인가요?!
3. 생명공학 회사의 취업을 위해 갖추면 좋을 스펙이 무엇인가요?!
차례 차례 답변 드리겠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3번, 스펙 단계까지 하면 너무 많으니까 다음 편에 넘길게요!ㅎㅎ
1. 대학원을 가는 것과 대기업 입사는 상관없는 건가요?!
결론은 세모입니다!
하지만!
삼성 바이오에피스/바이오로직스 가 목표라면 대답은 Yes 입니다~!
왜냐하면 두 회사 모두 학사 출신의 지원자들이 모든 직군에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죠:)
사실 더욱 정확하게 말씀드린다면 지원자들은 직군에 상관없이 지원하게 됩니다 (통합 직군)연구개발, 임상허가, 품질보증, 구매 등등 본인이 원하는 직군에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합격 후 면담을 통해/TO에 따라 부서 배치를 받는 것이죠!
반대로, SK케미칼/바이오사이언스/바이오팜 혹은 셀트리온/LG생명과학/CJ제일제당과 같은 기업들의 경우
모두 직군 별로 나뉘어서 선발하게 됩니다!
즉,
연구개발 분야: 석사 이상 지원가능
품질보증(QA), 임상허가 분야: 경력 2년이상 지원가능
과 같은 조건이 붙게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대학을 갓 졸업한 학사 취업자의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직군이 적다는 말씀~!
그러니까..!대학원을 가서 학위를 취득하면, 모든 회사의 연구개발직을 지원할 수 있어대기업 입사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기회가 많다!
그렇다면, 제가 드리고 싶은 조언은 이것입니다..
대기업 취업이 목표이신가요?
연구개발을 하고 싶지 않은데 취업만을 위해 대학원을 가진 마세요..! (불행하잖아요..) 그 대신 다른 직군에 지원하세요!
그럼 학사 출신이 갈 수 있는 직군은 어떤게 있는지 2번 답변에서 드릴게요~!
2. 연구직 외에 학사 출신의 생명과학, 생명공학 전공자가 갈 수 있는 직군은 무엇인가요?!
분명히!
나는 연구개발은 별로 하고 싶지 않은데...우리 전공은 꼭 연구개발직으로 가야하나...?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거에요
답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회사에서 연구개발을 하는 사람들은 적은 수를 차지한답니다.물론 에피스처럼 생산팀이 아예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죠
직군을 설명하기 위해 전체적인 회사 프로세스를 설명드릴게요:)
제약산업에서 크게 개발, 허가, 지원, 생산 부서가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는데요
첫번째, 개발 분야는 흔히 말하는 연구개발로, 새로운 의약품 개발/의뢰받은 제품의 프로세스 최적화 등을 하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두번째, 허가 부서는 이러한 우리의 의약품이 실제로 효과가 있고 안전하다라는 걸 증명해서 의약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끔 만드는 부서죠!
QA(Quality Assurance) - 품질 보증, 임상 시험 -(Clinical trial) 부서가 그러한 역할을 합니다~!
QA는 특히나 연구개발, 생산팀에서 실험한 내용들을 문서로 검토하여 실험단계에서 문제가 없는지, 결과값에 문제는 없는지 연구의 공정성 등도 평가하게 되죠!
말 그대로 의약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곳입니다~!
임상팀은 실제로 의약품을 생산부서에서 대량 생산하여 임상 1단계, 2단계, 3단계 등으로 나아갈때마다 임상 시험에 참가할 병원, 환자, 의사 분들을 섭외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출장이 잦은 부서라고 해요!)
세번째, 지원 부서! 경영 지원팀이 될 수도 있고, 기자재 구매와 같은 부서도 포함되는 폭 넓은 팀입니다.
실제 의약품의 개발, 생산, 허가 등의 팀에서 필요한 일들을 해주는 많은 부서가 포함됩니다.인사팀, 마케팅, 대외협력, 해외사업은 경영지원팀에 해당하고요!지원 팀에는 실험 업무에 필요한 기자재를 구입하는데 경쟁 입찰 등을 통해 저렴한 가격, 빠른 입고를 위해 노력해주시는데 구매 부서도 포함됩니다~!
바로 이 구매팀 또한 대학을 갓 졸업한 신입 학사 분들이 가기 좋은 직군이죠!
물론 영업도요! 생명공학적 지식을 갖추었고 열정이 가득한 신입이 배워나가기 좋은 직군입니다 :)
네번째, 생산팀입니다!
연구개발에서 이렇게 만들자! 라고 정해진 내용을 품질 보장을 거쳐 생산팀에서는 주어진 레시피대로 대량 생산을 해주게 됩니다.따라서 우리가 쉽게 말하는 "공장"일이 되는 것이죠!이때 QC라고 부르는 팀이 등장하는데요, 바로 Quality control입니다!즉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과정의 의약품 quality가 올바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말하자면, 공정의 단계마다 지금 이 단계에서 요 정도 결과값이 나오는 건 적절하므로 잘 진행되었다 라고 하며,요거를 확인하고 잘못되었을 때 다시 앞 단계를 손보며 control하는 직군이죠!
바로 이 직군이 생명공학 학사 출신들이 지원하기에 가~~~~~~~~~장 유리한 직군이 됩니다.왜냐하면 이 직군은
1. 생명공학적 기본 지식이 필요하니까 전공자가 필요
2. 실험을 개선하는 방안을 찾는 곳이 아님(고거슨 연구개발 단계에서!) 따라서 연구경험은 없어도 됨
3. 실험과 문서작업이 병행되는 일이므로 실험수업도 들어본 친구가 좋음
이기 때문이죠!
오늘은 이렇게 생명공학 직군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생명공학도들이 가지면 좋은 스펙들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원생이였습니다.방문해주셔서 감사드려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뿅!